평화와 군축 |
가장 근원적인 차원에서 사회를 변화시키는 토대는,
모든 차이를 초월하여
한 사람이 또 다른 한 사람을 격려하는 일이다. |
평화와 군축 |
눈앞의 이익 추구를 초월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.
이를 위한 첫걸음은 스스로를 존중하는 일이다.
그리고 품격, 자신감, 긍지를 갖고 살아가야 한다.
그렇게 할 수 있는 사람은 다른 사람도 존중할 수 있게 된다. |
평화와 군축 |
‘불신’을 ‘신뢰’로, ‘적대감’을 ‘이해심’으로,
‘증오’를 ‘자비’로 변화시키는 열쇠는 바로 성실이다.
참된 평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우정과 신뢰는
결코 전략적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. |
평화와 군축 |
‘어떻게 하면 안전하고 영속적인 평화를 구축할 수 있을까?’
‘어떻게 하면 환경을 보호할 수 있을까?’
‘어떻게 하면 경제난을 극복할 수 있을까?’
이 모든 문제의 해결책은 ‘불가능하다’ ‘어쩔 수 없다’는
선입견과 무관심을 버리는 데 있다.
인간이 야기한 문제는 인간만이 해결할 수 있다. |
평화와 군축 |
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의 목숨을 빼앗거나,
극심한 고통을 가할 수 있는 2만여 개의 핵탄두가
끊임없이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.
지구 생태계를 몇 번이고 파괴할 수 있는 분량이다.
“이 상상도 할 수 없는 파괴력으로 무엇을 보호하고 있단 말인가?”라고 묻고 싶다.
설사 전투 중인 국가의 몇몇 사람들이 살아남는다 해도
그들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 과연 참된 미래라고 할 수 있을까? |
평화와 군축 |
전쟁은 광기를 정상적인 상태로 보이게 한다.
벌레를 박멸시키듯 주저 없이 인간을 전멸시키고,
인간적인 그리고 인도적인 모든 것을 갈기갈기 찢어버리며,
결국에는 자연 자체를 파멸시키고 만다. |
평화와 군축 |
성실한 목소리, 확신에 찬 목소리는
선(善)을 끌어내는 강력한 힘이다. |
태도 |
남의 불행이 곧 나의 불행이고,
나의 행복이 곧 남의 행복이다.
‘타인의 모습에서 나를 들여다 보고 일체감을 느낀다.’
이는 생명관(生命觀)과 인생관의 혁명적 변화를 의미한다.
따라서 남을 차별하는 일은 곧 나를 차별하는 일이고,
남에게 상처를 입히면 결국 내가 상처를 입게 된다.
나아가 타인을 존중할 때,
우리 스스로를 높이고 존중하게 된다. |
태도 |
인간에게는 ‘약한 마음’과 ‘강한 마음’
전혀 다른 두 가지는 마음이 있다.
만약 ‘약한 마음’에 지배당하면,
영락없이 패배하고 만다. |
태도 |
어느 시인은 말했다.
“고뇌는 약한 자에게는 굳게 닫힌 문이지만,
강한 자에게는 활짝 열린 문과 같다.”
약한 사람에게는 고뇌가 앞길을 가로막지만,
강한 사람에게는 보다 밝은 미래를 향해
더욱더 활짝 문을 열 수 있는 기회가 된다.
모든 것은 자신의 ‘마음’ 자신의 ‘태도’로 결정된다. |